분당 매쓰몽 - 우리 아이 생애 첫 테스트 : 예비 초1학년 매쓰토픽 데일리 테스트 (수학 단원 테스트)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 아이 생애 첫 테스트 후기 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요즘 시대에는 수학을 배우는 시기가 참 다양하죠. 매쓰몽 분당 에서는 1학년부터 본격적으로 배운 내용에 대한 데일리 테스트 , 그리고 총괄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오늘은 그중 데일리 테스트 를 예시로, 또 처음 테스트라는 것을 접했을 아이들의 상황 그리고 그 결과에 따른 학부모님들의 상황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이 글이 아이들의 학습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 위함으로 쓴 글이기에 혹여나 내 아이의 반 테스트다~!라고 생각하여 문제 유형을 미리 공부하고.... 하면 안 되어요~!!*^^*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지만~ 그래도 언급을 해보자면~ 초등 기간 그리고 학원에서 진행하는 데일리테스트는 아이들이 잘 배웠고 잘 이해했는지에 대한 확인이기 때문에 미리 문제를 알고 시험을 보게 된다면 우리 아이들의 진짜 실력을 알 수가 없답니다~!^^ 결과도 너무나 중요하지만 지금의 1순위는 과정! 내가 제대로 아는지, 그 아는 것을 어떻게 수학적으로 잘 풀어내어 기록하는지 대한 확인! 이 가장 중요한 시기라는 점 다시 한번 마음이 담아보아요*^^* 자, 생애 첫 테스트 를 진행한 학생의 테스트 예시입니다. ( 학생의 학부모님께 동의를 구하고 촬영하였습니다! ) 시험지를 받아보는 순간, 저희는 점수부터 보게 됩니다^^ 음.... 앗..... ^^:;; 이 테스트의 결과를 보고 나면 우리 아이가 이 단원을 이해 못 했나? 수 감각이 없나? 분명 공부했는데....라는 생각이 들어요. ( 복습 프린트, 연습문제, 질문 문제에 대한 오답. 이 3가지 숙제는 했으나, 시험 보기 전 복습은 x) 자, 이제부터가 시작입니다. 우선 모든 문제가 틀렸으니, 어떤 문제가 틀렸는지는 패스... 그럼 왜 틀렸을까? 하고 찬찬히 보았답니다. 먼저 아이가 푼 과정을 찬찬히 보고... 어라? 과정은 다 맞았는데 답이 왜 저걸까? 란 의문이 생깁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다시 고쳐보라고 했어요. 1번부터 소리 내어 읽고 먼저 혼자 고쳐보라고 했습니다. 읽기는 잘 읽는데 무얼 구하는 문제냐고 물었더니, " 모르겠어요. " "..." 이 학생은 시험 속 문장에 대한 이해와 수학 용어를 이해하지 못했었던 거예요. 사진을 보면 1번의 경우 빈칸에 알맞은 답들은 다 잘 적어 놓고서는 답을 8이라고 적었습니다. '차'라는 말을 이해하지 못하였고 또 그 앞의 a와 b라는 문장은 보지 않고 넘어간 거죠. 글보다는 시각적인 효과를 주는 그림 속 빈칸을 열심히 채웠지만 뭘 하라는 건지 모르고 빈칸 속 수 중 보이는 답을 적었답니다. (또 '차'라는 단어를 수업 시간에 그리고 숙 제할 때 공부는 했지만 잊음...) 다음은 2번 . 2번은 그래도 배운 과정대로 기준을 세워 경우를 쭉 나열했더라고요. 그런데, 저렇게 나열만 해놓고 답을 안 적었어요.... 실컷 동그라미도 쳤는데 말이죠. ㅎㅎㅎ 숙제할 때 공부를 했으니 저렇게 생긴 유형은 접근은 잘 했는데 한글이 눈에 들어오지 않으니 나열만 쭉 했답니다. 마지막 3번. 3번 역시 문제는 읽지 않고 뭔가 세 개의 수를 써놓고 합을 구하려고 했네요. 그런데 그마저 3개를 다 더하지도 않고... 결론적으로 이 학생은 글을 읽고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경험이 처음이다 보니 문제를 읽어야 한다는 인지 가 서툴렀고 또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단어와 문장 질문이 다 어색한 상황 이었어요. 너무나 다행인 건 기준을 세워 경우를 나열한다는 것에 대한 이해와 가르기와 모으기에 대한 이해는 너무 잘하고 있었어요. 이러한 친구들의 테스트 고치기 는 스스로 문장을 읽게 하고 학부모님들께서 먼저 해석해 주시기보다는 여기서 질문하는 것이 무엇인지 반대로 질문을 하셔서 아이들이 스스로 대답할 수 있도록 유도 를 해주셔야 합니다. 그래야 아이들이 다시 고치기를 통해 틀렸던 부분, 몰랐던 부분을 쉽게 잊지 않고 오래 기억에 남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간혹 '차'와 같은 평소 사용하지 않은 용어들이 나온다면 수업 교재의 필기를 스스로 찾아 알게 해주셔야 해요. ( 아직 어리기 때문에 페이지만 찾아주고 그 페이지 속에서 해당 단어, 주제를 찾아서 본인 스스로 문제를 해석할 수 있도록 해야 해요! ) 아이들의 학습에 어른의 개입이 많아지는 순간 아이들은 스스로 하는 그리고 기억하는 힘이 현저히 떨어진답니다. 수학을 처음 시작한 유아, 또는 예비 초 1학년의 경우는 문제의 맞고 틀림보다는 이 아이가 수학적인 이해가 부족한 것인지 문장 읽기에 대한 인지와 질문 이해 부족인지를 잘 파악 해야 합니다. 후자에 해당되는 부분은 아이들이 수학 수업을 들으면서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당장에 조급해 하실 부분은 없어요! 하지만 전자가 되었다면! 반드시 담당 선생님께 말씀을 드려 아이가 이해가 안 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을 다시 듣도록 해주셔야 해요. 그 과정에서 선생님께서 아이가 어떤 부분에서 이해를 못 했는지에 대한 파악을 통해 아이한테 맞는 티칭 법을 과제를 하는 과정에서 말씀드릴 수 있고 선생님께서도 아이의 상황에 대한 데이터가 쌓이면서 장기적으로 아이를 잘 이끌어 나갈 수 있습니다. ^ ^ 너무나 당연하지만 당연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 우리 아이 생애 첫 테스트 >에 대한 주제로 글을 써보았습니다. 이번의 글이 이제 수학이라는 공부를 시작하는 자녀를 둔 학부모님들에게 유익한 글이 되길 바랍니다^^ *출처: 분당 매쓰몽 네이버 블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