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앤씨 교육뉴스 (학생부종합전형을 좋아하는 대학의 속내)
학생부 종합전형을 좋아하는 대학의 속내
대학이 학생부 종합전형 아닌 학생부를 수시, 정시에서 다 보려는 진짜 이유 전격공개!
중학생이 알아야 할 ‘고교학점제와 대학 입시’ 총 3부작 - 3부
--------------------------------------------------------------------------
● 대학은 학생부 종합전형 선호
--------------------------------------------------------------------------
수능으로 신입생을 선발하는 정시에서는 전체 수능점수(표준점수 혹은 백분율)의 합산으로 선발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학생부 교과(이하 교과) 전형에서는 정량적인 내신과 수능 최저 등급의 합을 기준으로 합격의 당락을 결정하는데 정시와 교과 전형에서는 일부 대학을 제외하고 어떤 탐구 과목을 선택했는지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
● 고교 '진로 선택 과목' 중요
--------------------------------------------------------------------------
교과 전형도 서울 15개 대학만 살펴보면 10% 정도에 불과한데 교과 전형을 하는 일부 대학에서는 면접과 서류 전형 30%를 통해 학생의 교과목 이수 현황을 살펴보는 대학들이 차츰 증가하고 있습니다. 진로 선택 과목의 증가에 따라 내신 9등급을 평가하는 일반 선택 과목의 비중이 감소하고, 또 대학에서 원하는 전공 관련 과목을 이수하지 않고 대학에 진학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진공 관련 수업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교과 전형을 일부 수정하여 면접하고 있습니다.
--------------------------------------------------------------------------
● 고교 '진로 선택 과목' 중요
--------------------------------------------------------------------------
대학이 학생부 종합전형 아닌 학생부를 수시, 정시에서 다 보려는 진짜 이유
대학들이 수시 학종으로 학생을 선택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전형 유형별 중도 포기율 때문입니다. 서울 K대 2022학년도 중도 포기율을 보면 20학번 기준 수능은 무려 16.8%로서 수능으로 입학한 신입생 10명 가운데 2명 정도가 학교를 중도 포기한다는 것입니다. 교과 전형 합격자의 중도 포기율은 11.3%이고 종합 전형은 7%로서 논술전형 다음으로 낮은 포기율을 보입니다....
씨앤씨 교육뉴스 자세히보기 >>>> 클릭
*출처: 목동 씨앤씨학원 카톡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