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수능대비 6월모의고사 고3 국어 총평대치동 소수정예 학원의 중심 대치이지영어!! 영어도 잘하지만 국어도 역시 잘 가르치는 대치이지영어(교과 과목: 영어 / 국어)!!! 2025학년 수능대비 모의고사가 2024년 6월 4일 모평이 치뤄졌습니다. 고3학생들에게 중요한 시험이니만큼 정확한 분석이 중요하겠지요^^ 대치이지에서 국어를 맡고 있는 강병기쌤의 예리한 분석으로 수능 만점을 노려봅니다. 총평은 전체적인 난이도는 어렵지 않았으나 몇개의 어려웠던 지문과 선지 로 문제들이 어렵게 느껴지며, 내용 파악도 쉽지 않고, 개념 자체도 헷갈렸을 것입니다. 그래서 문제를 풀기에 어려워 체감상 난이도가 높다고 느껴지며 멘탈이 강하지 않으면 문제 해결에 어려움을 많이 느꼈을 시험이다. 비문학 지문 중 두개는 난이도가 매우 낮아 해결하는데 어려움은 없었을 것이라 예상!! 단 7,9번 문제 는 난이도가 있어 문제풀이에 난항이 예상된다. 특히 오답률1위 9번문제는 지문을 완벽히 이해하고 정확한 끊어읽기로 선지를 나눈 학생은 문제 해결하기 쉬웠겠지만, 그렇지 못한 학생은 이해가 어려워 문제해결에 난항을 겪었으리라 예상된다. 문제 9번 선지 { 성장 중의 사슬은 / 그 양쪽 끝부분에서 / 불안정한 탄소 원자가 / 생성된다.} 또한 논리 지문자체는 난이도가 상당히 높았다고 볼 수 있다. 2018학년도 6월의 양자역학 지문과 관련하여 전건긍정규칙이 나왔기에 기출을 풀어봤고, 분석했던 학생이라면 익숙함을 받았을 테지만, 그렇지 않은 학생의 경우 많이 어려웠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지문의 난이도는 높았지만 상대적으로 문제의 난이도는 어렵지 않았다. 지문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사고력을 바탕으로 문제해결한 학생들은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었겠지만 어려운 지문에 멘탈이 흔들린 학생은 높은 점수를 받긴 어려웠을 것으로 예상된다. 문학 이번 모의고사에서 문학부분은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1) EBS 연계작품 중 책에 수록되지 않은 지문이 등장!! 2) 정확한 이해를 위해 선지끊어 읽기, 대응여부 확인이 매우 중요해졌습니다. 3)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감상이 아주 중요해졌습니다. [이대봉전]의 경우 EBS연계 작품이지만 수록되지않은 지문 출제로 전반적인 작품의 이해가 없는 학생들의 경우 문제 해결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어 집니다. 연계된 [청산행]과 비연계 지문으로 구성된 34번의 경우 오답률 5위에 해당됩니다. 이로써 문학의 난이도가 급상승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문학을 해결하기 위해 중요한 포인트!! 1) 선지를 끊어 읽을 것!! 2) 선지와 지문을 대응할 것!! 3) 작품을 전반적으로 이해할 것!!! 화법과 작문 화작에 갖고 있는 가장 큰 오류!! 쉽다는 생각에 15분안에 문제를 풀어버려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오히려 문제 해결에 실수를 만드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특히 화작 42번과 45번은 오답률 10위 안에 드는 문제이다. 이것은 화작을 쉽다고 착각하여 나오는 문제점 을 여실히 보여주는 점이다. 선지를 끊어 읽고 지문안에서 정답의 근거를 확실하게 찾아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언어와 매체 전반적인 난이도는 기존에 비해 쉬웠다고 하겠다. 오답률 3위에 해당하는 36번의 경우 난이도가 있다기보다는 다소 생소한 개념 을 다뤘기에 정확한 분석보다는 감에 의존하여 풀다보니 어려움을 겪었으리라 보여진다. 단순하게 공부를 하기보다는 다양하고 세밀한 공부가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시험이었다. 수능에서 국어는 특히나 점수를 내기가 어려운 과목입니다. 앞으로는 더욱 난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합니다. 대입제도에서 의대정원이 늘어나고 대학마다 자율전공을 늘리다 보니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수능 국어는 앞으로도 불수능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이에 수능의 시작 1교시 국어시험에서 멘탈이 강하고 어떤 문제를 마주하더라도 흔들리지않을 멘탈을 가진 학생이 뒤이은 2.3.4.5교시 시험도 잘 치뤄나갈 것입니다. 불수능을 예고했지만 그 해결책을 제시하는 학원 대치이지영어학원 강한 국어수업 에서 수능 1등급의 수업을 경험하시기 바랍니다. 그 결과로 모든것을 말하는 수업 강병기쌤과 함께 수능 / 내신 1등급을 만듭시다!!! 상담문의 02) 555- 0059 / 010-5684-0053